중국 고유의 동물








솔기머리사슴
솔기머리사슴(Elaphodus cephalophus)은 사슴과 사슴아과 문착족에 속하는 작은 사슴의 일종이다. 수컷이 독니처럼 생긴 송곳니와 앞머리에 검은 솔기머리를 갖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문착의 근연종으로 중국 중부와 미얀마 지역에 널리 분포한다. 아프가니스탄에서는 마지막으로 나타난 지 60년만에 최근에 발견되었다. 과도한 사냥과 서식지 감소를 겪고 있지만, 멸종 위기종으로 간주하지는 않는다. 솔기머리사슴속(Elaphodus)의 유일종이다. 해발 고도 4,500m 이상 서식지의 산림에 제한적으로 서식하기 때문에 연구가 쉽지 않다.
더 발견하다
솔기머리사슴
대왕판다
대왕판다(大王판다, 문화어: 참대곰, giant panda, 중국어:大熊猫, 학명: Ailuropoda melanoleuca)는 중국 쓰촨성 지방과 티베트의 고산 지대에 서식하는 포유동물이다. 자이언트판다, 자이언트를 생략하고 판다라고 하기도 하고 왕판다라고도 한다. 영어식 발음으로 팬더라고도 불리는데 표준어로 인정되는 표기는 판다이다. 영어권에서 쓰이는 이름인 ‘giant panda’는 애기판다처럼 대나무잎을 먹는 큰 동물이라는 점 때문에 붙여졌다. 중국어에서는 애기판다를 작은 대왕판다라는 뜻의 ‘샤오슝마오(중국어: 小熊猫 ‘소웅묘’)’라고 부른다.천적은 눈표범, 자칼, 담비다.
더 발견하다
대왕판다
중국악어
중국악어(학명: Alligator sinensis) 또는 양쯔강악어는 앨리게이터과에 속하는 악어로 중국 양쯔 강 하구에서 살고 있다. 몸길이 약 1.8m의 악어로써 미시시피악어와 가장 유사한 종이다. 몸의 색은 녹색 기운이 도는 검은색이고 옆면에 노란 얼룩점과 가로줄무늬가 나 있다. 어린 악어는 검정과 노랑이 뚜렷하게 나타난다. 주둥이 끝이 둥글넙적하고 짧으며 입술이 위를 향해 있다. 목 부분의 경린판은 3쌍이며 서로 겹쳐져 있다. 악어 등 양서류나 파충류에게 흔히 있는 물갈퀴는 그다지 발달하지 않았다. 성격이 온순하며 양쯔 강 및 양쯔 강 주변의 풀이 우거진 못이나 호수에 살며 도마뱀과 물고기 등을 잡아먹는다. 겨울에는 하천 밑바닥이나 하천 주변의 진흙에서 겨울잠을 잔다.
더 발견하다
중국악어
황금들창코원숭이
황금들창코원숭이(Rhinopithecus roxellana) 또는 황금원숭이, 골든몽키, 금빛원숭이는 콜로부스아과에 속하는 구세계원숭이의 일종이다. 어깨와 가슴, 배 부위가 황금색을 띠며 등은 적갈색이다. 눈 주위에 밝은 청색이 둘러쳐져 있다. 작은 사자코가 특징이며, 어깨에 갈기와 같은 긴 털이 있다.눈 위에서 직립보행을 하며 죽순, 나무껍질, 과일, 나뭇잎, 곤충을 먹는다. 중국(쓰촨성, 산시성, 간쑤성, 후베이성)의 해발고도 3,000m의 낙엽활엽수림이나 침엽수림에 서식 한다. 천적은 참매, 승냥이, 늑대, 아시아황금고양이, 표범이다.
더 발견하다
황금들창코원숭이
사불상
사불상(四不像, Père David's deer(Elaphurus davidianus), milu 또는 elaphure, 중국어:麋鹿)은 사슴과에 딸린 동물이다. 사육되는 무리만 알려져 있다. 늪지대에서 서식하며, 풀과 수초를 뜯어먹는다고 한다.
더 발견하다
사불상
따오기
따오기(학명: Nipponia nippon 닛포니아 닛폰)는 사다새목 따오기과 따오기속으로 분류되는 새다. 본종 1종으로 따오기속(Nipponia)을 구성한다. 일본의 텃새였고, 한반도에서는 겨울철새였다.과거 세계적으로 불과 몇 마리에 불과할 정도로 개체수가 감소해 절멸위기에 처했다. 그러나 중국에서 발견된 개체군을 육성하여 2000년대 이후로 개체수가 회복추세에 있다. 2019년 기준 개체수는 중국에 2,600마리, 일본에 600마리, 대한민국에 363마리다.일본의 공식적인 국조는 꿩이지만, 여러 가지 이유로 종종 따오기가 “일본을 상징하는 새”로 불린다. 니이가타현의 현조, 니이가타현 사도시 및 이시카와현 와지마시의 시조, 대한민국 경상남도 창녕군의 군조다.
더 발견하다
따오기
금계
금계(金鷄, 학명: Chrysolophus pictus)는 닭목 꿩과에 속하는 새이다. 영어명은 Golden Pheasant이다. 서부 중국의 삼림지대가 원산지이다.다 큰 수컷의 길이는 꼬리깃을 포함해서 90 ~ 105cm이며 꼬리깃이 전체 길이의 2/3 이상을 차지한다.수컷은 붉은 색이 섞인 금색의 볏이 있다. 얼굴, 목, 뺨 등은 갈색이며 턱볏은 노란색이다. 등 위쪽은 녹색이며 나머지 부분과 엉덩이 쪽은 금색을 띤다. 붉은색의 가슴깃털이 나 있고 다리와 발은 진한 노란색이다. 암컷은 어두운 갈색을 띤다. 울음소리는 금속성을 띄며 번식철에만 "꽥! 짹!' 운다. 번식철엔 암컷을 공격할 수도 있다.평균 8 ~ 12개의 알을 낳으며 부화 기간은 약 22일이다. 비슷한 새로는 은계와 백한이 있다.
더 발견하다
금계
양쯔강돌고래
양쯔강돌고래(Lipotes vexillifer)는 양쯔 강에 살았던 강돌고래의 멸종된 일종이다. 바이지 또는 바이지툰(중국어: 白鱀豚, 병음: báijìtún)라고도 부른다.
더 발견하다
양쯔강돌고래
중국산악고양이
중국산악고양이(영어: Chinese mountain cat, 중국어 간체자: 荒漠貓, 정체자: 荒漠猫, 병음: huāngmòmāo, 학명: Felis bieti)는 고양이속에 속하는 소형 고양이과 동물의 일종이다. 2002년 이래로 IUCN 적색 목록에 취약종으로 등재되어 있고, 현재 야생에 10,000마리 안팎으로 잔존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더 발견하다
중국산악고양이
일리우는토끼
일리우는토끼 또는 일리피카(Ochotona iliensis)는 우는토끼과에 속하는 포유류의 일종이다. 중국 북서 지역의 고유종이다. 일리우는토끼의 몸길이는 20.3-20.4 cm 정도이다.
더 발견하다
일리우는토끼
검은들창코원숭이
검은들창코원숭이(Rhinopithecus bieti) 또는 윈난들창코원숭이는 긴꼬리원숭이과에 속하는 영장류로 현재 멸종 위기종이다. 중국이 원산지로, 현지에서는 윈난황금머리카락원숭이(滇金丝猴) 또는 검은황금머리카락원숭이(黑金丝猴)로 불린다. 서식지 감소로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더 발견하다
검은들창코원숭이
중국장수도롱뇽
중국장수도롱뇽(영어: Chinese giant salamander, 중국어 간체자: 中国大鲵, 병음: zhōngguódàní, 학명: Andrias davidianus 안드리아스 다비디아누스)은 현재 세계에서 가장 큰 도롱뇽이며, 드물지만 최대 몸길이는 180센티미터나 된다. 와와어나 와와위 중국의 산악지역의 개울 및 호수에 분포하며, 서식지 감소, 환경오염, 남획 때문에 상태가 위급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먹기도 하지만 한약으로 쓰이기도 하며, 타이완에서의 기록은 들여온 것일 수도 있다. 점액은 화상을 치료하는 약재이기 때문에, 전설에 따르면 불을 끄는 동물이라고 되어 있으며, 수명이 100년 정도이지만, 300년이 넘는다는 말도 있다.
더 발견하다
중국장수도롱뇽
Ailuropoda melanoleuca qinlingensis
더 발견하다
Ailuropoda melanoleuca qinlingensis
양쯔강자라
양쯔강자라(중국어:斑鱉, 한어 병음:bān bīe)는 중국과 베트남에 서식하는 자라의 종류이다. 현재 베트남의 야생에 두 마리, 중국의 동물원에 수컷 한 마리로 총 세 마리밖에 남지 않은 멸종위기종이다.(2019년 4월 중국 동물원의 성별이 확인된 마지막 암컷이 죽었다.) 잡식성이다. 근연종인 호안끼엠자라는 멸종하였다.중국 후난성 창사(長沙)의 동물원에는 80살이 넘은 암컷 자이언트 양쯔자라가, 장쑤성 쑤저우(蘇州)의 동물원에는 100살이 넘은 수컷 양쯔자라가 살고 있다. 이 두 마리를 교배시키고 있지만 나이가 많은 탓에 아직 새끼를 낳지는 못했다.
더 발견하다
양쯔강자라
Syrmaticus reevesii
더 발견하다
Syrmaticus reevesii
Protobothrops mangshanensis
더 발견하다
Protobothrops mangshanensis
하이난검은볏긴팔원숭이
하이난검은볏긴팔원숭이 또는 하이난긴팔원숭이(학명, Nomascus hainanus)는 중국 하이난섬에서만 발견되는 긴팔원숭이의 일종이다. 이전에는 이 종을 베트남의 호아빈성과 까오방성 그리고 중국 광시 좡족 자치구의 징시현에서 발견되는 동부검은볏긴팔원숭이의 아종으로 간주했다.
더 발견하다
하이난검은볏긴팔원숭이
황금타킨
황금타킨(Golden takin)은 산시성 남부의 친링 산맥에 서식하는 멸종 위기에 처한 양족이다. 히말라야 산맥의 험한 겨울의 추위 동안 황금타킨은 그들이 따뜻하고 건조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도와주는 독특한 적응을 가지고 있다. 그들의 크고 말코손바닥사슴 같은 코는 흡입된 공기를 가열하여 호흡 중에 체열을 잃게 하는 큰 부비강이 있다. 두꺼운 2차 코트는 겨울의 추위를 막아주고 요소로부터 보호해주는 역할을 한다. 또 다른 보호제는 지성 피부이다. 비록 황금타킨은 피부 분비선이 없지만, 그들의 피부는 폭풍과 안개 속에서 천연 비옷의 역할을 하는 기름지고 쓴 맛이 나는 물질을 분비한다. 이것의 피부는 또한 황금 양모의 전설의 근원으로 알려져 있다.천적은 표범, 늑대, 곰이다.
더 발견하다
황금타킨
Ailuropoda microta
더 발견하다
Ailuropoda microta
프르제발스키가젤
프르제발스키가젤(Procapra przewalskii)은 소과에 속하는 가젤의 일종으로 야생에서는 중국에서만 발견된다. 한때는 널리 분포했으나 분포 지역이 칭하이호 근처의 6개 지역으로 줄어들었다. 학명은 1875년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이 종의 표본을 수집해 가져 온 러시아 탐험가 니콜라이 프르제발스키의 이름을 따서 지었다.
더 발견하다
프르제발스키가젤
Thermophis baileyi
더 발견하다
Thermophis baileyi
Panthera youngi
더 발견하다
Panthera youngi
검은문착
검은문착(Muntiacus crinifrons)은 중국 남동부에 서식하는 문착의 일종이다. 저장성과 안후이, 장시, 푸젠성에서 발견된다. 멸종 위기종으로 간주되며, 넓은 지역에 5000~10,000마리가 분포되어 산다.
더 발견하다
검은문착
Cynops orientalis
더 발견하다
Cynops orientalis
바랄
바랄(bharal) 또는 히말라야푸른양(Himalayan blue sheep, 학명: Pseudois nayaur)은 인도와 네팔, 부탄, 티베트 그리고 파키스탄의 히말라야 고산 지대에서 서식하는 영양의 일종이다. 나우르(naur)와 티베트푸른양, 티베트야생양 등으로도 불린다. 현지에서의 이름은 힌두어로 "바랄"(bharal, barhal) 또는 "바라르"(bharar, "바루트"(bharut), 라다크에서 "나"(na) 또는 "스나"(sna), 스피티 계곡에서는 나보(nabo), 네팔어로는 나우르(naur), 부탄에서는 "나"(na) 또는 "그나오"(gnao) 등으로 다양하다.천적으로는 눈표범이 있다.
더 발견하다
바랄
Diploderma splendidum
더 발견하다
Diploderma splendidum
Syrmaticus ellioti
더 발견하다
Syrmaticus ellioti
Crossoptilon auritum
더 발견하다
Crossoptilon auritum
Urocissa whiteheadi
더 발견하다
Urocissa whiteheadi
Lophophorus lhuysii
더 발견하다
Lophophorus lhuysii
Polyplectron katsumatae
더 발견하다
Polyplectron katsumatae
Pterorhinus courtoisi
더 발견하다
Pterorhinus courtoisi
Perisoreus internigrans
더 발견하다
Perisoreus internigrans
Poecile superciliosus
더 발견하다
Poecile superciliosus
Tetrastes sewerzowi
더 발견하다
Tetrastes sewerzowi
Aegypius jinniushanensis
더 발견하다
Aegypius jinniushanensis
Arborophila gingica
더 발견하다
Arborophila gingica
Arborophila rufipectus
더 발견하다
Arborophila rufipectus
Turdus mupinensis
더 발견하다
Turdus mupinensis
Poecile weigoldicus
더 발견하다
Poecile weigoldicus
Liocichla omeiensis
더 발견하다
Liocichla omeiensis
Cyanoptila cumatilis
더 발견하다
Cyanoptila cumatilis
1 - 42 에서 289 더 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