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늑대
왕국
아문
수업
주문하다
가족
아과
Proteles cristata
인구 규모
Unknown
수명
8-20 years
무게
7-10
15.4-22
kglbs
kg lbs 
40-50
15.7-19.7
cminch
cm inch 
길이
55-80
21.7-31.5
cminch
cm inch 

땅늑대 또는 아드울프(aardwolf)는 하이에나과의 동물이다. 하이에나와의 차이가 많이 나며 이로 인해 하이에나아과가 아닌 땅늑대아과에 속한다. 아프리카 동부와 남부의 초원에 살며 흰개미를 주식으로 하는 야행성 동물이다. 가족 단위로 생활한다.

야행성

육식 동물

식충동물

육상동물

초서적

굴을 파는 동물

알트리셜

태생

일부일처제

일부다처제

사회의

외로운

이민자가 아님

A

~로 시작하다

모습

땅늑대는 하이에나과의 동물들 중 체구가 가장 작다. 머리는 55-80cm 정도이며 어깨는 45-50cm, 꼬리는 20-30cm가량 된다. 몸 길이는 85cm-105cm 정도이며, 평균 무게는 아프리카 남부에서는 8-12kg, 동부에서는 14kg까지로 지역별로 차이가 날 수 있고 계절에 의한 변화도 존재한다. 성적 이형 현상은 없다.

자세히보기

털의 자연적인 색깔은 노란색과 회색이지만 경우에 따라 흰색이나 적갈색 털이 섞여 있을 수 있다.

간단히 보기

동영상

분포

지리학

땅늑대는 서로 1500km가량 떨어진 아프리카 동부와 남부에 서식한다. 아프리카 동부의 서식지는 현재 이집트의 남동부 끝에서 시작하여 수단에리트레아, 에티오피아, 소말리아, 케냐탄자니아 중부에 걸쳐 있다. 남부 서식지는 앙골라 서남단, 짐바브웨 남부에서 시작해 모잠비크의 일부와 잠비아, 보츠와나, 나미비아,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최남단에 이른다.

자세히보기

초원과 사바나에서 주로 활동하며 이나 사막에서는 볼 수 없다. 이들 지역의 강수량은 매년 100-800mm로 낮은 편이다. 에티오피아에서는 해발 2000m의 고지대에까지 출몰하곤 한다. 전체적으로는 주요 서식지에서도 자주 눈에 띄지 않으며 평균 밀도는 1km3당 1마리의 다 자란 땅늑대 정도로 추측된다.

간단히 보기
땅늑대 서식지 지도
땅늑대 서식지 지도
땅늑대
Attribution-ShareAlike License

습관과 라이프스타일

땅늑대는 야행성 동물로 먹이 상황에 따라서는 늦은 오후에 이미 활동을 개시하기도 한다. 아프리카 남부에 사는 땅늑대들은 여름에는 일몰에서 30분-1시간이 지난 후부터 일출 1-2시간 전까지 활동하며, 이 동안에 8-12km 정도의 거리를 답파한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겨울에는 3-4시간 후 다시 굴로 돌아오며 3-8km 정도만 걷는다.

자세히보기

잠을 자거나 휴식을 취할 때에는 굴에 머무른다. 땅늑대는 스스로 만들지 않으면 남아프리카 토끼(Springhare)의 굴을 확대해 자기 것으로 쓰는 경우가 많고 가끔은 땅돼지, 호저 등이 거처로 쓰던 곳에서 살기도 한다. 단 하나뿐인 입구는 최대 5m 정도의 좁은 터널과 연결되어 있고 입구의 반대쪽은 좀 더 넓게 파여 있다. 한 곳에서 6-8주 동안 생활한 후에는 새로운 굴을 찾아나서며, 6-18개월 후에는 이전의 장소로 돌아오기도 한다.

암컷과 수컷은 2-5년 동안 한 쌍을 이루며 공동의 영역 안에서 전년에 얻은 새끼들을 양육한다. 다만 교미기를 제외하면 둘은 별개의 둥지에서 서로 떨어져 살고 먹이를 구할 때에도 따로 행동한다. 다른 하이에나와는 달리 인사하는 습관이 없으므로 서로 만난다 하더라도 그냥 지나쳐 갈 뿐이다.

땅늑대 한마리의 영역은 1.5km3와 4km3 사이를 오가는데, 이 안에는 보통 3000여개의 흰개미집이 있다. 영역을 표시하는 방법으로 땅늑대는 항문 부위를 풀 덤불이나 다른 물체들에 갖다 문질러대며, 이때 발산하는 주황색 액체는 공기와 접촉하며 검게 변한다. 이 표시는 사냥 영역을 뜻하며 굴의 입구에 분비하는 경우는 별로 없다. 이 행동 자체는 성(性)에 관계 없이 이루어지지만 수컷들이 영역 표시를 하는 경우가 100m당 최다 2번으로 더 흔하다. 이 표시는 영역의 경계를 따라 수차례 되풀이되는데 다른 땅늑대가 이 표시를 무시할 경우에는 상대를 몰아내려고 애쓴다. 이때 수컷은 수컷끼리, 암컷은 암컷끼리 서로 상대한다. 드문 일이지만 서로 싸우게 되면, 앞다리의 무릎을 굽혀 상대방의 목을 물려고 시도한다.

의사 소통은 무엇보다도 후각을 통해 이루어진다. 땅늑대는 맡은 냄새를 통해 다른 땅늑대의 성, 교미 상태, 이미 마주친 적이 있는 경우에는 누구인지까지를 유추해낸다. 조용한 편으로 음성을 통해 의사를 교환하는 일은 드물다. 공격적이 되면 입을 여닫으며 딱딱 소리를 내거나 으르렁거린다. 싸움이 시작되거나 무언가에 의해 갑작스럽게 놀라면 순간적으로 큰 목소리로 부르짖는다. 낑낑거리는 경우도 있는데, 긴장 완화용으로 보인다. 어린 새끼들은 어미를 찾을 때 꽥꽥거린다.

하이에나과에 속하는 동물로 땅늑대 역시 구덩이를 만들고 거기에만 배설한다. 대개 모래로 된 바닥에 1-2m 지름의 구덩이를 만들며 땅늑대 한 쌍의 영역에서는 최다 20개의 구덩이들이 만들어져 있는데 이 중에서도 영역의 경계에 가까이 위치한 구덩이들이 훨씬 더 자주 사용된다. 오줌을 눌 때에도 대부분 정해진 구덩이로 가지만 먹이가 넘쳐나는 곳을 발견한 경우에는 그곳을 떠나지 않고 즉석에서 볼 일을 보기도 한다.

간단히 보기
계절적 행동

다이어트와 영양

다른 하이에나와는 달리 땅늑대는 거의 흰개미만 먹으며 일생을 보낸다. 역시 곤충을 잡아먹고 사는 땅돼지나 천산갑만큼 강한 발톱을 가지고 있진 않기 때문에 흰개미집을 파헤치는 것에는 무리가 따르지만 대신 흰개미를 핱아 먹기에 적합한 혀를 가지고 있다.

자세히보기

가장 즐겨 먹는 종류는 Trinervitermes속(屬)에 들어가는 흰개미로 그 중에서도 특히 아프리카 동부의 Trinervitermes bettonianus, 짐바브웨와 보츠와나에 서식하는 T. rhodesiensis, 그리고 남아프리카의 T. trinervoides를 선호한다. 다른 식충 포유류들은 독성 화학 물질인 테르펜(Terpenoid)을 발산하는 이들 흰개미들을 꺼리지만 유독 땅늑대만은 이를 섭취해도 무방하다. 더구나 이들 흰개미들은 계절을 가리지 않고 밤에 2000-4000마리씩 떼를 지어 지상에서 먹이를 구하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야행성 동물인 땅늑대가 연중 내내 먹이로 삼기에 한층 더 적합하다. 다만 아직 어린 땅늑대의 경우에는 흰개미를 먹다가 토하는 경우를 자주 관찰할 수 있기 때문에 해독 작용은 성숙하고 나서 완전해지는 것으로 보인다. 매일 밤 섭취하는 흰개미의 양은 약 300.000마리로 2kg 정도이다. 야간에 활동하는 땅늑대는 시속 1km/h 정도의 속도로 지그재그로 움직이며 머리를 숙이고 귀를 앞으로 기울인다. 이때 후각과 청각을 사용해 먹이의 위치를 파악한다고 여겨진다.

남아프리카의 장마철 등으로 인해 Trinervitermes속(屬)의 흰개미가 부족해지면 Hodotermes, Microhodotermes, Odontotermes, Macrotermes 등의 다른 흰개미들도 잡아먹는데 이들 종(種)은 10-20마리 정도만 떼를 지어 먹이를 찾으므로 포식하기가 수월하진 않다. 매우 드물게는 다른 곤충이나 거미도 섭취 대상에 포함된다.

남아프리카에서 여러 번 조사한 바에 따르면 겨울의 땅늑대는 섭취량을 80%나 줄이며 체중은 20% 정도 감소한다. 보통 땅늑대는 물 자체를 마시는 대신 먹이에 포함된 수분을 섭취하는 것으로 만족하지만. 강한 추위로 인해 흰개미의 수요가 크게 감소하면 물을 구하기 위해 장거리를 가는 것도 마다하지 않는다.

땅늑대의 중요한 천적으로는 검은등자칼(Canis mesomelas)이 있다. 검은등자칼은 자주 새끼 땅늑대들을 먹이로 삼으며, 때문에 땅늑대 수컷이 암컷의 굴 앞에서 경비를 선다. 드문 경우에는 다 큰 땅늑대가 먹히는 경우도 있다. 진제리치(P. D. Gingerich)에 의하면 땅늑대의 줄무늬는 표범이나 다른 맹수들이 싫어하는 줄무늬하이에나와 비슷하게 보이기 위한 의태이다. 일부 다른 학자들은 땅늑대와 줄무늬하이에나의 크기 차이가 너무 명백하다는 점을 들어 이 주장에 동의하지 않는다.

땅늑대에 기생하는 생물들에 대한 연구는 현재까지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라 유일하게 알려진 기생충으로는 Mallophaga(소나무이?)아목에 속하는 Protelicola intermedia 뿐이다.

주식인 Trinervitermes속(屬)의 흰개미들은 다른 포유류의 먹이가 되지 않기 때문에 직접적인 먹이 경쟁자는 없다. 역시 흰개미를 주로 먹고 사는 큰귀여우(Otocyon megalotis)와는 심지어 두 개로 나뉜 분포 지역(서로 떨어진 아프리카 동부와 남부)이 공통적일 정도로 강한 동소성(同所性)을 띄지만, 큰귀여우는 다른 속(Genus)의 흰개미를 노리므로 직접적인 먹이 경쟁자는 아니다.

간단히 보기

짝짓기 습관

아프리카 남부에서는 교미기가 6월 말 또는 7월의 첫째나 둘째 주에 시작된다. 기후가 더 온난한 아프리카 중부나 동부에서는 교미기가 계절의 영향을 덜 받는다고 추정된다.

자세히보기

땅늑대는 영역을 같이하는 짝을 하나만 두지만 일생 동안 여러 번 짝을 바꾸고, 암컷이 같이 지내지 않는 수컷과 관계를 맺기도 하기 때문에, 수컷이 자신에게서 나지 않은 자식들과 생활하는 경우도 종종 있다. 교미기가 되면 암컷들은 자신의 영역 내에 머무르고 수컷들은 다른 땅늑대의 영역을 침범하기 시작한다. 처음에는 상황을 살피는 것이 주된 목적이며 상황이 유리하다고 판단할 경우 남의 영역에 들어가 자기 영역 표시에 사용하는 액체를 뿌린다. 이것은 도전이며 받아들이는 쪽도 자신의 액체로 맞서기 때문에 일종의 영역 표시 경쟁이 벌어진다. 도전자가 이 영역 표시 경쟁에서 승리할 경우 '침범한' 영역 내의 암컷과 교접할 수 있는 확률이 매우 높아진다. 수컷들이 경쟁하는 동안 암컷은 근처에서 돌아다닌다. 외부에서 온 수컷은 경쟁에서 이기면 암컷에게로 달려간 다음 돌연 되돌아서서 꼬리를 쳐들고 암컷 앞을 지나간다. 도전한 땅늑대가 상대를 이기고 암컷을 가로채 교접할 확률은 약 40% 정도이다.

성주기(Oestrus)는 하루에서 사흘 정도 지속되는데, 암컷이 이 시기에 수태하지 않으면 2주 이내에 다시 가임(可姙) 기간이 찾아온다. 성교는 1-4시간 정도 걸리며 이 동안 수컷은 여러 차례 사정한다. 도중에 다른 수컷이 침입해오면 성행위는 일시적으로 중단되었다가 이후 다툼에서 우세를 점한 수컷과 함께 계속된다.

간단히 보기

인구

Coloring Pages

참조

1. 땅늑대 Wikipedia 의 기사 - https://ko.wikipedia.org/wiki/%EB%95%85%EB%8A%91%EB%8C%80
2. 땅늑대 IUCN 레드리스트 사이트에서 - https://www.iucnredlist.org/species/18372/45195681

더 많은 흥미로운 동물에 대해 알아보기